'Backend' 카테고리의 글 목록 (2 Page)
본문 바로가기

Backend

(83)
aws EC2 볼륨확장 No space left on device MiB 장비에 공간이없다고함. 아래 명령어를 통해 폴더별 용량을 확인할수있다. df -h Use%를보면 100%보여 암튼 다쓴듯함 1. EC2 - Instance 메뉴에서 용량을 늘리려는 서버의 InstanceId를 확인후 복사 2. Elastic Block Store - Volumes에서 복사한 InstanceId를 검색하여 오른쪽버튼을 누른뒤에 Modify volume(볼륨수정) lsblk sudo growpart /dev/xvda 1 이러면 완료. 그런데 만약 이와 같은 에러가 뜰경우 가상 tmp를 만들어주고 xvda1로 설정한다음 용량증가를해줘야함 mkdir: cannot create directory ‘/tmp/growpart.743155’: No space left on device FAILED: f..
[AWS/RDS] SQL 쿼리문 속도 느린이유 Calls/sec는 초당 해당쿼리문을 반복하는 시간(4초일경우 4초마다 반복해서 호출) Avg latency (ms)/call 해당 쿼리문을 호출하는데 걸리는시간 느린이유 1. 쿼리문에 WITH 나 OR이 들어가있을경우 오래걸릴수있음 2. index가 안걸려있음
[nodejs] Uncaught SyntaxError: Unexpected token '<' UncatchSyntaxError: Unexpected token '
aws s3 403 forbidden에러 버켓에 이미지파일들을 올린후 403 forbidden에러가 떳는데 알고보니 외부에 공개하는 과정을 깜박했음 Actions에 Make public using ACL을 선택하니 이미지가 잘나옴 외부링크를 웹브라우저에서 확인해보려면 S3 URL을 보면 대충 아래와같은 경로로 되어있는데 여기서 s3://대신 HTTP를 붙이거나 붙이지 않으면 됨 #s3 URL s3://www.blabla.com/images/logo.png #웹브라우저가 인식하는 URL www.blabla.com/images/logo.png
aws cli로 configure 설정과 리셋 cli는 윈도우 버전을 설치한다. cli는 AWS Command Line Interface (AWS CLI)이다. configure설정 aws --version aws configure Configure 리셋 git bash로하면 경로 잘보임 루트에 aws폴더가 보이는데 그안에 config, credentials파일을 없애면 리셋됨 삭제시 중요한거는 없는지 주의 [AWS cli] s3 파일/디렉터리 다운로드 (tistory.com) [AWS cli] s3 파일/디렉터리 다운로드 S3의 특정 경로의 디렉터리를 서버로 다운로드할 필요가 생겼다. 이 글에서는 AWS cli를 이용한다. 따라서 당연히 AWS cli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AWS cli 설치 확인 aws --version 이 서버는 aws ec..
redash란 https://dev.classmethod.jp/articles/devio_analysis_using_redash/ Redash로 Developers.IO 블로그 RSS 분석하기 (Redash 사용법) | DevelopersIO 안녕하세요! 클래스메소드 CX사업본부의 신입엔지니어 임홍기입니다. 오늘은 기술 블로그인 Developers.IO에 포스팅되는 블로그의 RSS Feed를 Redash를 이용해서 분석해보았습니다. Re … dev.classmethod.jp 설치형 서비스로 데이터를 조회하고 그래프화 할 수있다.
서버가 켜져있을때 database 동작이 느릴수있다. API를 호출했는데 한참이 걸려도 호출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브라우저 네트워크를 확인해보니 거의 1~2분이 소요되었고 data도 찍히지않았다. 디버깅을 해보니 백단에서 쿼리문 조회하는 과정에서 오래걸리고있었다. 아마 데이터가 잘못되어있는것같아서 실섭 데이터베이스에있는 데이터를 로컬 데이터베이스로 재복사해오기를 시도해봤다. 역시나 로딩이 오래걸렸다. 로컬서버를 끄고 복사를 시도하니 빨리되었다. 이유는 잘모르겠다.
[nodejs] Fatal javascript OOM in GC during deserialization $ npm install -g increase-memory-limit $increase-memory-limit increase-memory-limit를 설치후 실행하면 node_modules안에 .bin폴더내 많이 쌓였던 파일들을 삭제해서 메모리를 확보하는듯하다. 저장공간을 늘리는 방법도 있던데 이것은 좀더 공부하고 업데이트해야할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