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etc (67) 썸네일형 리스트형 지수표기법 1e18 (Exponential Notation) 자바스크립트 코딩중에 1000000000000000000를 쓸일이 있었는데 숫자가 너무크다는 브라우저 콘솔메시지를 받았다. 검색해보니 1e18로 쓰면된다고해서 적용해보니 작동이 잘되고 숫자가 크다는 콘솔 메시지도 사라졌다. 동료 개발자에게 물어보니 지수 표기법이라고해서 10의배수가 너무많은경우 e(지수)를 이용해서 보기쉽게해주는 방법이라고한다. 1e18은 쉽게 말해서 1e18 = 1 * 10^18 또 + - 를 넣어서 소숫점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를 붙이면 1.0xxx으로 시작하는것이고 -를 붙이면 0.1xxx으로 시작한다고한다. 컴퓨터가 지수표기법을 인식한다는것이 신기하다.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53096246/what-does-the-number-1e18.. [400에러] Unexpected token o in JSON at position 1 error HTTP POST 전송도중 400에러와 SyntaxError에러를 만났다. SyntaxError는 자바스크립트 문법에 맞지않는 문을 해석할 때 발생하는 에러 객체라고 한다. 400은 서버로보낸 요청이 잘못되었을때 생기는 에러라고한다. JSON.parse도중에 발생한 에러인것을보니 JSON.stringify로보낸 객체를 parse하는 과정에서 발생한듯하였다. 웹브라우저에서 값이 어떻게 넘어가는지 디버깅을해보니 weather값과 count값관련하여 서버에서는 int를 원하지만 문자열로 넘어가는것을 확인하였다. 그래서 parseInt로 감싸 해결하였다. async function setVote(type, value){ const date = new Date().toUTCString()//utc await fe.. url 특수문자 처리 encodeURIComponent <-> decodeURIComponent url에 간혹 &와 같은 특수문자가 포함되기도하는데 그냥보내버리면 인식을 못한다고한다. 그럴경우 encodeURIComponent로 감싸주면된다! 예를들어 #000000의 경우 encodeURIComponent(#000000)이런식으로 하면됨 만약 인코딩한값을 html에 뿌리게될경우 #000000이아니라 %25000000이되는데 그럴경우 decodeURIComponent로 감싸주면된다. 참고로 인코딩이란 컴퓨터 정보의 형태나 형식을 표준화, 보안, 처리 속도 향상, 저장 공간 절약 등을 위해서 다른 형태나 형식으로 변환하는 것을 말한다. 쉽게말해 잘 사용할수있게 변환하는 것? 문자 인코딩, 동영상 인코딩이라는 용어로 자주사용한다. 예시코드 프론트 const tokenIdsArr = Object.keys(.. sh파일로 깃명령어 간소화 깃명령어를 간소화할수있다. commit.sh # main,test에 자동 커밋푸시 # 실행: git bash에서 경로+파일명 예) ./commit.sh git checkout main git pull --rebase git push git checkout test git pull --rebase git merge main git push yarn berry + nextjs install yarn berry install Nextjs, eslint, prettier, sass Yarn berry if you don't have yarn yet npm i -g yarn install react or react typescript anything you want yarn create next-app and change set to berry version yarn set version berry checkout the file location and if you open location, press ctrl+ '.yarn/releases/yarn-3...' find .yarnrc.yml and remove nodeLinker: node-modules and add yarnPa.. [git] remote: HTTP Basic: Access denied 해결 다른 노트북으로 프로젝트를 클론하려하니 계정과 암호를 입력하란다. 잘못입력했는데 이런 메시지가 떴다. 계정과 암호를 다시 입력하려하였으나 방법을 몰라서 구글검색을 좀 해보았다. window + R을 입력해 실행창을 켠다음 아래코드를 붙여넣기해 credential manager 항목을 연다. (제어판타고타고 들어가는방법이 있는데 영어가 아니라서 힘들어서 포기함 ㅎ..) control /name Microsoft.CredentialManager 그러면 자격 증명 관리자 페이지로 이동하는데 여기서 우측 Windows 자격증명 탭을 누르고 일반 자격 증명리스트에서 git관련 계정을 찾는다. 나같은 경우는 깃랩 계정을 사용하고있다. 편집버튼을 누른뒤에 제거 혹은 수정을 하면되는데 사용자 이름은 이메일로하고 암호는.. Rest API 사용시 Caching 주의 이미지파일이나 css, js에서만 캐시가 가능한줄 알았는데(Cacheable) Rest API에서도 가능하다는것을 배우게되었다. Get 요청, Head의 경우 웹브라우저상에서 캐싱이 쌓이기 때문에 데이터는 변경될지언정 웹브라우저에서 상에서는 이전 데이터를 보여줄수있으니 매우 주의 ㅠㅠㅠ... 여담으로 다른 메소드(post, patch)들은 본문내용까지 캐시키로 고려해야해서 구현이 쉽지안다고함 캐시로 쓰이는지 확인하는법 네트워크 탭에서 status가 연한색이면 캐시가 활용된것이라함 해결 방법1 쿼리스트링추가 1~1000까지의 랜덤한 숫자를 쿼리스트링으로 붙여서 캐싱문제를 해결함 let randomNum = Math.floor(Math.random() * 1000 + 1) await fetch(`...?v=.. git discard 복구하기 실수로 지워버린 git discard를 복구하는 방법! 내가 작성했던 코드를 복구하는 방법 1. 단축키 F1을 누르고 Local History를 누르고 복구할 파일을 찾아낸뒤에 저장했던 내역들을 하나하나 살펴보면된다. 2. 추적하려는 파일을 선택한뒤에 하단의 TIMELINE에 실시간으로 저장된 내역을 확인한다. 남이 작성한 코드를 복구하는 방법 남이 작성한 코드는 깃에 커밋한것까지만 복구가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추적하려하는 파일을 선택한다. 하단에 TIMELINE이 있어서 이것을 통해 추적이 가능하다. 느낀점 discard하지말자.. 이전 1 2 3 4 5 ···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