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스트캠퍼스 수강 후기] 프론트엔드 인강 100% 환급 챌린지 37회차 미션
본문 바로가기

Frontend

[패스트캠퍼스 수강 후기] 프론트엔드 인강 100% 환급 챌린지 37회차 미션

패스트캠프 프론트앤드 인강 37일차 css의 box-sizing과 opacity를 알아보았다.

box-sizing

box-sizing은 요소의 크기 계산기준을 지정한다.

default값은 content-box으로 너비(width, height)만으로 요소의 크기를 계산한다.

만약 너비(width, height)안에 안쪽여백과 테두리선을 모두포함할경우 border-box를 쓰면된다.

padding-box도 있긴하지만 브라우저 호환성이 떨어져서 생략하도록한다.

.box{
width:200px;
height:200px;
background:orange;
padding:40px;
border:10px solid red;
}

이와같은 div태그에 클래스명이 box인 박스를 만들고 개발자도구를 키면 content-box와 border-box의 차이를 알수있다.

200*200은 기본값인 content-box이다.
content값과 padding, border값을 모두합하면 border-box이다.

 

box-sizing은 요소의 크기계산기준을 지정할수있는데

content-box: box-sizing로 할경우 content박스를 기준으로하고

border-box:box-sizing로 할경우 content,padding,border값을 모두포함한 박스를 기준으로 하게된다.

 

opacity

opacity는 요소의 투명도를 지정하는 방법이다.

opacity는 숫자로 범위를 설정하면되는데 0~1사이의 값을 입력하거나 또는 소숫점숫자를 지정한다.

.half{
	opacity:0.5;
}
.transparent{
	opacity:0;
}
.box{
	opacity:.75;
}

0.75대신에 .75로 줄여쓸수있다.

 

위 코드를 살펴보자.

half 클래스는 50% 투명도,반투명이다.

transparent 클래스는 0%투명도, 투명

box 클래스는 75%투명도, 반투명

 

*display:none과 opacity:0의 차이

display:none은 아예사라지는거고

opacity:0은 안보이지만 투명처리되어있기때문에 자리를 차지하고있다.

 

https://bit.ly/31Cf1hp

 

프론트엔드 개발 올인원 패키지 with React Online. | 패스트캠퍼스

성인 교육 서비스 기업, 패스트캠퍼스는 개인과 조직의 실질적인 '업(業)'의 성장을 돕고자 모든 종류의 교육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한민국 No. 1 교육 서비스 회사입니다.

www.fastcampus.co.kr

 

반응형